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5권
제1장 넓은 의미의 정의
사람들로 하여금 정의로운 것들을 행하게 하는 품성상태를 정의라고 부르자
*이는 단어의 정의[定義]안에 단어자체가 나오는 상황으로 미완성의 정의라고 해두자.
정의가 무엇인지 알기위해 부정의한 사람이 얼마나 많은 방식으로 이야기되는지 파악해보자.
법을 어기는 사람<->법을 지키는 사람
더 많이 가지려하며 공정하지 않은 사람<->공정한 사람
부정의한 사람은 더 많이 가지려는 사람인 탓에, 좋은 것들에 관심을 가질 것임. <그렇지만 모든 좋은 것에 관심을 갖는 것이 아니라 행운과 불운에 관계하는 좋은 것들에만 관심을 가질것이다.> 결국 그는 공정하지 않다.
우리는 하나의 단일한 방식에 따라 정치적 공동체를 위해 행복과 행복의 부분들을 만들어내고 그것들을 보전하는 것<법률>이 정의로운 것이라고 말한다.
또 용감한사람이 하는일을 하라고, 절제있는 사람이 하는 일을 하라고, 온화한 사람처럼 행하라고 명한다. 탁월성에 따라 행하도록 명하는것이 법률이므로,
따라서 바로 이러한 정의가 완전한 탁월성이다.
하지만 단적으로(곧바르고 명백한) 그러한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완전한 탁월성이다.
이런 이유로 정의는 종종 탁월성 중에서 최고의 것으로 여겨지며 '정의 안에는 모든 탁월성이 다 모여 있다'고도 말해지는 것.
'다스림이 그 인간을 드러낼 것이다.'(비아스의 말) 다스리는 사람은 당연히 타인과 관계하며 그들과의 동반 관계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또 바로 그런 이유로 탁월성 중에서 정의만이 유일하게 '타인에게 좋은 것으로 보임'
정의는 다른 사람과 관계하기 때문. 다스리는자와 다른 구성원 양자에게 유익이 되는 것을 행하니까.
가장 좋은 사람은 그 탁월성을 자기 자신이 아니라 타인을 위해 활용하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정의는 탁월성의 부분이 아니라 탁월성 전체.
탁월성과 정의는 같은 것이지만, 그것이 무엇인지 물었을때, 서로 다른 관점에서 서로 다른 대답을 할 수 있다.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 생각의 출현 (0) | 2016.10.24 |
---|---|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5권 제2장~제4장 (0) | 2016.09.21 |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4권 (0) | 2016.09.11 |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3권 (0) | 2016.08.30 |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2권 (0) | 2016.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