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이란..

(울산톺아보기) 1980년대 이후 시가지의 확산 - 공업도시 50년 '촌락'에서 '산업수도'로

- 울산발전연구원에서 2012년 12월 발간한 울산학연구 제7호 내용중

김헌규 울산대학교 건축대학 교수의 글에서 펌 -

 

 

□ 시가지의 확산(1980년대 이후)

 

 

 

 

위 그림에서 보듯이 1980년대가 되면 공업시설 및 도로 등의 새로운 건설은 이전 시기에 비해 잦아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로에 대한 공사가 진행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주로 기존 도로를 확장포장하는 형태의 공사가 주를 이룬다.

 

 

 

 


그림 16은 1985년 항공사진에서 확인되는 주요 도로와 1980년대까지 이루어졌던 토지구획정리사업 등의 개발사업지를 플롯트하여 분석한 것이다. 1980년대의 개발은 특히 토지구획정리와 택지개발 등의 개발은 기존시가지에 인접한 병영성 주변과 현대중공업이 들어선 동구에서 집중적이고 대규모로 일어나고 있으며 이들 지역에 각종 사택들도 입지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중구의 경우 울산읍치와 병영성 사이에 위치한 학성공원의 동쪽과 북쪽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 지역은 대규모 사택이 먼저 들어선 다음 비교적 오랜 시간이 지난 다음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또한 이 시기에는 사택들이 울산 곳곳에 건설되고 있는 것 또한 이전과는 다른 특징이다. 1971년 시외버스터미널이 입지한 우정동의 남쪽 태화동에 토지구획정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교통 결절점의 입지로 인한 지역개발인 것으로 보여진다. 중구 지역 이외에 동구에서도 본격적인 토지개발사업이 추진되었던 것이 바로 이 시기이다.(그림 17 참고) 동구지역에서도 중구에서와 마찬가지로 토지개발사업 뿐만 아니라 그 주변에 대량의 사택도 건설되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또한 남구 무거동 지역에는 1971년 개교한 울산공과대학에 인접하여 토지개발사업이 진행되었으며 다른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이 지역과 인접하여 사택이 건설됨으로써 울산 서쪽 지역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도로망에 있어서는 앞서 1970년대 진행되었던 염포로(반구동에서 동구로 진입하는 도로)가 개설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고, 경주방면에서 내려와 여천방면으로 이어지는 산업로와 신시가지가 연결되는 삼산로가 이 시기에 개설되었다.


이 시기는 특히 울산의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시행착오가 발생한 시기로 도시계획에서도 다양한 문제점을 재검토하여 구체적 개발계획 작성을 꾀하는 시기였다. 80년대에 이미 시외버스터미널이 설치된 우정동 일대에 교통 혼잡을 유발하고 있을뿐더러 규모 또한 울산의 인구규모에 적합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들어 확장이전에 대한 계획의 수립 또한 교통망에 있어 시가지를 관통하고 있는 철도로 인한 도시발전 저해 문제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철도역 이전 문제는 비단 울산만의 문제는 아니었다. 1983년의 신문기사를 살펴보면 대한 국토계획학회의 『도시와 철도역 이전』 이라는 보고서를 인용하면서 도시외곽으로 철도역을 옮김에 따라 도심 교통난 해소, 변두리지역의 신시가지 편입, 철도역 주변 재정비, 철도사고 감소, 시외/고속버스 터미널과의 연계개발에 따른 균형발전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면서 울산을 비롯한 많은 지방 도시들에서 철도역을 외곽으로 이전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기사를 싣고 있다.

 

 울산의 철도 이전은 1992년 8월 지금의 태화강역 자리로 이전하면서 일단락되었다. 하지만 새롭게 이전되는 울산역의 경우도 교통결절점으로서의 중심성은 매우 약한 상태로 개발되었다. 이후 1999년 삼산으로 이전된 시외버스터미널과 고속버스 터미널과 약1.5km정도의 거리를 두고 있어 이들 시설들이 교통 결절점으로써 상호관계를 형성하기에는 거리가 어정쩡하게 설정된 점과 무엇보다도 지나치게 도심 외곽에 위치하고 있는 점 등으로 인해 교통결절점으로서의 역할이 지나치게 약화되어 버렸다. 뿐만 아니라 1980년대는 공업도시 울산의 도시개발에 있어 큰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는 시대이기도 하다. 울산이 공업도시로 조성되기 시작한 이래 가장 중요한 문제로 떠오른 것이 바로 공해 문제로 이는 지역 주민들에게 있어서는 생존권과도 연관된 문제이다. 1973년 대법원이 영남화학에 대해 울산 지역 과수피해주민들에게 320만원을 배상토록 판결한 것은 공해에 대한 첫 배상판결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소송은 근본적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집단행동과 소송이 끊이지 않았다. 결국 정부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온산공단과 함께 울산지역 환경오염지구 주민 5,950세대, 27,017명을 86년부터 88년까지 3년에 걸쳐 이주시키기로 결정하였다. 이 결정으로 여천동, 매암동, 부곡동, 황성동, 용연동, 용잠동 등의 7개동에 거주하던 주민들을 완전 이주시키게 된다. 이들이 이주하게 될 집단이주단지를 삼호, 태화, 다운지구에 1,929,000㎡ 규모로 조성하여 단계별로 이주시키게 된다. 이러한 사업진행을 위해 1986년 1월 6일 울산시 이주지원사업소가 설치되었다.

이러한 이주사업은 1990년이 되면 택지개발이 완료되어 도시공간에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과거 울산 시가지에서 부산과 언양으로 이어지는 주요 간선도로가 이어지던 태화동과 삼호 일대를 비롯해 다운동에 대규모의 택지개발이 진행되었다. 이와 더불어 인접 무거동에서도 토지개발이 진행되어 급속도로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동구에서도 80년대에 이어 대규모의 토지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개발이 더디게 진행되던 삼산지역의 토지개발도 1990년대에 들어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데, 이 시기의 삼산지역 개발은 토지개발 뿐 만 아니라 1997년 주리원백화점 아트리움점이 삼산에 개점하고, 이어1990년대 말 시외/고속버스 터미널의 이전과 함께 롯데 백화점이 2001년에 삼산에 개장하면서 울산의 중심상업이 성남동 일대에서 이곳 삼산으로 분산되게 된다.

'삶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미있는 동양고전 강의를 듣고  (0) 2013.06.20
울산 어울길 1구간을 걷다!  (0) 2013.06.17
앵두나무  (0) 2013.04.15
견(見) 바라보다 - 박웅현 대표  (0) 2013.04.10
민들레  (0) 2013.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