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5권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5권 제2장~제4장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5권 정의 중 제2장 탁월성의 부분으로서의 정의 부분에 따른 부정의 다른 악덕... 가령 비겁으로 말미암아 방패를 내던지는 사람 혹은 고약함으로 말미암아 헐뜯는 사람 혹은 인색함으로 말미암아 금전적인 도움을 주지 않는 사람 이들은 부정의를 행하기는 하지만, '더 많이 가지려는 것'은 아님. 그러나 누군가 '더 많이 가지려' 한다면, 적어도 어떤 특정한 나쁨(=부정의)'에 따라 행하는 것 - 전체의 부분으로서 존재하는 다른 어떤 부정의 있음. - '법을 어기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부정의 한 것' - 전체의 부분으로서 '부정의 한 것' 있음 부분으로서의 부정의는 명예나 돈, 안위, 혹은 이 모든 것들을 하나의 이름으로 아우를 수 있는 어떤 것이 있다면 그것에 관련하고, 이익.. 더보기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5권 제1장 넓은 의미의 정의 ​ ​ ​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5권 제1장 넓은 의미의 정의 사람들로 하여금 정의로운 것들을 행하게 하는 품성상태를 정의라고 부르자 *이는 단어의 정의[定義]안에 단어자체가 나오는 상황으로 미완성의 정의라고 해두자. 정의가 무엇인지 알기위해 부정의한 사람이 얼마나 많은 방식으로 이야기되는지 파악해보자. 법을 어기는 사람법을 지키는 사람 더 많이 가지려하며 공정하지 않은 사람공정한 사람 부정의한 사람은 더 많이 가지려는 사람인 탓에, 좋은 것들에 관심을 가질 것임.​ 결국 그는 공정하지 않다. ​우리는 하나의 단일한 방식에 따라 정치적 공동체를 위해 행복과 행복의 부분들을 만들어내고 그것들을 보전하는 것​이 정의로운 것이라고 말한다. 또 용감한사람이 하는일을 하라고, 절제있는 사람이 하는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