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강의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의 배경! 영국의 슬픈 민낯 장하준 교수는 왜 시장의 거짓말에 대한 책, '경제학 강의'를 적었을까요? 여기에 그 의문의 단초가 보입니다. 영국인구 64백만명 중 13백만명이 극빈자라고 합니다. 끌끌 우리도 조만간 저리 될까요? 선진국이라고 모든 국민이 다 행복하게 잘 살 것이라고 기대는 안했지만, 밥을 굶을 정도의 극빈층이 이정도로 증가하고 있을줄은 몰랐습니다. 영국 이야기지만, 남의 나라 얘기 같진 않습니다. "영국의 빈곤층 인구는 1천 3백만 명에 이른다. 전체 인구가 6천 4백만 명 정도니 대략 여섯 명중 한 명은 빈곤층...물가는 대폭 오르고, 수입은 대폭 줄어드니 소비성향도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장정훈 칼럼 중 더보기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를 읽고!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를 읽고! 자유무역이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높은 세율은 부의 창출을 방해하고, 불필요한 관료주의를 없애야 기업 활동이 활발해진다는 것. / 다 거짓말이다. 이것들이 거짓말이라고 전체를 관통하며 이야기한다. 보호무역으로 스스로 키우고 힘이 세졌을 때, 약자들을 베껴먹기 위한 논리였다. 누진정책이나 빈자들(다소비층)에게 더 많이 나눠주어야 경제 발전의 동력이 된다. 탐욕스러운 기업을 규제하는 것보다 더 좋은 정책은 없는 듯하다. 시장... 다 거짓말이다. 글을 적는다는 것, 방법론.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쉬운 예시로 문단 사이사이에 '적시'. 누적된 잽에 글 읽는 사람은 알게 모르게 설득당한다. scema: 인간의 기억속에 쌓인 지식의 구조로 대상과의 관계를 해석하는데 쓴다. 경제사라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