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암스님

도암스님의 '부모노릇7단계'(제자규) 강설1-1 제자규 1-1 반갑습니다. 뒤에 잘 들리죠? ~네 이번 강의에서 배울 책 한권씩 받으셨죠? 이것이 제자규.. 다음 글자가 쉬울 이, 그래서 제자규이해(弟子規易解) 이것은 제자규를 좀 쉽게 풀이 했다 이런 얘깁니다. 자 그런데 이걸 왜 배우느냐! 예전에는 무엇을 가지고 처음 기초공부를 했느냐 하면 아함경을 가지고 기초공부를 하고 그 위에 대승경전을 공부를 했어요. 그렇게 아함경 따로 세월을 들이고 그 다음에 불교로 들어가는 방식이 하나있고 또 하나는 어떤 방식이 있냐하면 이런 유가서의 핵심부분 있잖아요 이런 것은 보통 조선시대에는 기본으로 익혔잖아요? 우리가 이제 불교 신행을 하는데, 이런 바탕이 있고 이런 실천력이 있는 사람은 바로 불교공부로 들어갈 수 있는 밑천이 있었어요. 그 다음에 이거는 집에서는 .. 더보기
도암스님의 '법구경' : 산다는 것은(서문) 도암스님의 법구경 강의 (2016년 정종사 불교대학) 강의자료 : 진리의말씀 (법정 번역, '이레' 출판) 강의일자 : 2016.3.16(화) 13:00~15:00 강 설 : 무문 도암스님 불교대학 : 양산 덕계 소재 '정종사' (주지 : 여해스님) 법정 스님의 법구경 서문부터 시작합니다. "우리가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어떻게 살아야 사람답게 살 수 있을 것인가. 그릇된 고정관념과 잘못된 생활습관을 개선해 가면서 삶의 질을 높임으로써 한 걸음 한 걸음 사람의 자리에 다가서는 것이 아닐까 싶다." "우리가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사는 문제를 이야기 하는거죠. "어떻게 살아야 사람답게 살 수 있을 것인가.", 고민을 많이 했던것 같아요. "어떻게 살아야 사람답게 살 수 있을 것인가.", 쓱 읽지 말고 .. 더보기
도암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 제1강-2부 도암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 (2016년 제1회 정종사 불교대학) 강의자료 : 보현행원품 강설 (혜남 저, 부다가야 출판) 강의일자 : 2016.1.7(목) 13:00~15:00 강 설 : 무문 도암스님 불교대학 : 양산 덕계 소재 '정종사' (주지 : 여해스님) 좀 쉬셨어요? (네) (당부말씀) 책을 좀 읽어오면은 좋겠어요. 여기 있는 내용들을 한글자 한글자 다 읽으면서 이야기 하려면은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지금 1월달 2월달을 합쳐서 강의를 하려면은 (1월 정초 그때가 강의 일자와 겹치는지 모르겠네. 안겹치고 해도) 한 여덟 번이 총 횟수거던 열가지 원을 하고, 또 뒤에 게송들이 좀 더 있고 하니까 그러면 보통 하루에 두가지 단락을 다루게 되어 있어요. 그렇죠 근데, 저기 이거를 하나하나 꼼꼼하게 읽.. 더보기
도암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 제6강-2부 도암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 (2016년 제1회 정종사 불교대학) 강의자료 : 보현행원품 강설 (혜남 저, 부다가야 출판) 강의일자 : 2016.2.17(수) 19:00~21:00 강 설 : 무문 도암스님 불교대학 : 양산 덕계 소재 '정종사' (주지 : 여해스님) 경문따라 읽다보면, 경문내용이 뭔지 한눈에 확 안잡혀도, 따라서 읽고 신업,구업,의업이 따라가다보면, 묘하게 쉬어지는 자리가 있어요. 그리고 이렇게 삐딱했던 자리가 반듯해지는 느낌이 있는 데가 있고 ... 자 그러면 다시 이야기하면 삐딱하던, 자세를 삐딱하게 잡았을때 하고 바르게 잡았을때, 삐딱하게 잡아도요 뭔가를 하면은 효과는 나요. 그런데, 효과 10%정도, 20%, 30%, 바르게 하면 효과 100%.. 뭐라그러냐하면, 아니 나대로 해도 .. 더보기
도암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 제6강-1부 도암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 (2016년 제1회 정종사 불교대학) 강의자료 : 보현행원품 강설 (혜남 저, 부다가야 출판) 강의일자 : 2016.2.17(수) 19:00~21:00 강 설 : 무문 도암스님 불교대학 : 양산 덕계 소재 '정종사' (주지 : 여해스님) 오늘은 116쪽 부처님의 공덕을 따라서 기뻐하는 수행(隨喜功德) 사실은 부처님만 들어가는게 아니에요. 원래 제목으로 하면, 과거, 현재, 미래. 이렇게 이야기하면 과거, 현재, 미래의 부처님의 공덕을 따라서 기뻐하는 수행이라고 하면 맞아요. 미래의 부처님은 누구예요? 첫 번째 후보가 미륵부처님이에요. 그다음은 누구예요? (일체중생) 그죠. 일체중생이지요. 순서로 보면 누가 되겠어요? 누가 열심히 하느냐에 따라 순서가 정해지겠죠. 자 이부분이 얼.. 더보기
도암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 제5강-1부 도암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 (2016년 제1회 정종사 불교대학) 강의자료 : 보현행원품 강설 (혜남 저, 부다가야 출판) 강의일자 : 2016.2.3(수) 19:00~21:00 강 설 : 무문 도암스님 불교대학 : 양산 덕계 소재 '정종사' (주지 : 여해스님) 자 102쪽요. 지난번에 뭐죠. 10악업중에서 10악업의 인과를 이야기하는 가운데, 몸으로 하는 살도음, 입으로 하는 망어, 기여, 악구, 양설 이런 것 있죠. 그게 구업하고 신업이고, 구업과 신업과 이렇게 보면 의업은 탐진치라는, 의업은 뿌리 같고 거기에서 구업을 짖기 싶냐, 신업을 짖기 싶냐? 하면, 거기에서 구업을 짖기 정말 쉬워. 잎새같아, 정말쉬워, 그죠. 의업이 뿌리 같고 신업이 있고, 구업은 잎새 같아. 짖기 쉬울 뿐이지, 감당하기 .. 더보기
도암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 제4강-2부 도암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 (2016년 제1회 정종사 불교대학) 강의자료 : 보현행원품 강설 (혜남 저, 부다가야 출판) 강의일자 : 2016.1.28(목) 14:00~15:00 강 설 : 무문 도암스님 불교대학 : 양산 덕계 소재 '정종사' (주지 : 여해스님) 사음을 하잖아요. 부부사이에 갈등이 생기면, 안한사람이 한사람에게 혐오증 내인생돌리도 굉장히 많은 사연들이 생긴다. 다리가 잇는데, 심리적으로 끊어지는 것 처럼 느껴지거던 끊어진 다리 이어가기는 엄청 힘들다. 내가 하는 거는 로맨스, 애인이 없어요. 6급 장앱니다. 사실 심각한것이거던요. 사음한 죄도 삼악도에 떨어지게 하고 정조를 잘 안지키는 배우자를 만나고. 금생에 내가 정조를 잘 안지켰어. 다음생에는 안지키는 배우자를 만나는거야. 삼세 인과.. 더보기
도암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 제4강-1부 도암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 (2016년 제1회 정종사 불교대학) 강의자료 : 보현행원품 강설 (혜남 저, 부다가야 출판) 강의일자 : 2016.1.28(목) 13:00~14:00 강 설 : 무문 도암스님 불교대학 : 양산 덕계 소재 '정종사' (주지 : 여해스님) 우리가 2.4라는 느낌으로 하나를 주고 상대도 하나를 받았어요. 이쪽에서 2.4를 줬다는 생각을 해요. 받은쪽에서는 하나만 갚아요. 이렇게 하면 어떻게 되요. 이게 쌓이면 못받은게 1.4, 100개면 140을 못받아요. 천개면 1400을 못받은거예요. 나중에는 뚜껑이 열려요. 이게 정상적인 사고를 할 때 하는 생각이에요. 그런데 탐심이나 어리석음이 끼이면 숫자가 더 커지는거예요. 우리의 견해가 그래서 불교교리서에 보면 사견이라는 말이 있어요. .. 더보기
도암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 제1강-1부 도암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 (2016년 제1회 정종사 불교대학) 강의자료 : 보현행원품 강설 (혜남 저, 부다가야 출판) 강의일자 : 2016.1.7(목) 13:00~15:00 강 설 : 무문 도암스님 불교대학 : 양산 덕계 소재 '정종사' (주지 : 여해스님) 지금 우리가 공부를 할 내용이 경전이 보현행원품이라는 거죠. (네) 이 보현행원품앞에는 어떤 말이 붙느냐 하면, 경전이름이 대방광불화엄경, 화엄경안에 우리가 관세음보살보문품 그러면 어느 경전에 있어요? 법화경 안에. 법화경 안의 일부분이 관세음보살부문품. 화엄경중에서 이 보현행원품은 어떻게 되냐 하면, 자 인도에서 중국까지 올려면은 한 몇 km쯤 될까요? km 수로는 제법 많이 되죠. 짚차를 타고서 중국에서 인도까지 짚차를 타고 간다고 그래도 고.. 더보기
도암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 제3강 도암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 (2016년 제1회 정종사 불교대학) 강의자료 : 보현행원품 강설 (혜남 저, 부다가야 출판) 강의일자 : 2016.1.20(수) 19:00~21:00 강 설 : 무문 도암스님 불교대학 : 양산 덕계 소재 '정종사' (주지 : 여해스님) 오늘은 교재 74P 널리 공양을 올리는 수행입니다. 지구가 있는데, 우리가 보고 듣는 것은 극히 일부입니다. 가시광선 권역이나, 주파수도 일정 헤르츠 권역만 들리는 것이죠. 우리가 가진 레이더를 벗어난 것은 못보고 못 듣습니다. 너무 멀어도 벗어납니다. 소리도 그렇죠 너무 큰소리는 들을수 없습니다. 예를 들면, 지구가 공전, 자전하며 내는 굉음 같은 것은 가청 범위를 넘어서는 겁니다. 안들리지만, 그 소리는 존재합니다. 부처님은 가청, 가시 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