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5권 제2장~제4장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5권 정의 중 제2장 탁월성의 부분으로서의 정의 부분에 따른 부정의 다른 악덕... 가령 비겁으로 말미암아 방패를 내던지는 사람 혹은 고약함으로 말미암아 헐뜯는 사람 혹은 인색함으로 말미암아 금전적인 도움을 주지 않는 사람 이들은 부정의를 행하기는 하지만, '더 많이 가지려는 것'은 아님. 그러나 누군가 '더 많이 가지려' 한다면, 적어도 어떤 특정한 나쁨(=부정의)'에 따라 행하는 것 - 전체의 부분으로서 존재하는 다른 어떤 부정의 있음. - '법을 어기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부정의 한 것' - 전체의 부분으로서 '부정의 한 것' 있음 부분으로서의 부정의는 명예나 돈, 안위, 혹은 이 모든 것들을 하나의 이름으로 아우를 수 있는 어떤 것이 있다면 그것에 관련하고, 이익.. 더보기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5권 제1장 넓은 의미의 정의 ​ ​ ​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5권 제1장 넓은 의미의 정의 사람들로 하여금 정의로운 것들을 행하게 하는 품성상태를 정의라고 부르자 *이는 단어의 정의[定義]안에 단어자체가 나오는 상황으로 미완성의 정의라고 해두자. 정의가 무엇인지 알기위해 부정의한 사람이 얼마나 많은 방식으로 이야기되는지 파악해보자. 법을 어기는 사람법을 지키는 사람 더 많이 가지려하며 공정하지 않은 사람공정한 사람 부정의한 사람은 더 많이 가지려는 사람인 탓에, 좋은 것들에 관심을 가질 것임.​ 결국 그는 공정하지 않다. ​우리는 하나의 단일한 방식에 따라 정치적 공동체를 위해 행복과 행복의 부분들을 만들어내고 그것들을 보전하는 것​이 정의로운 것이라고 말한다. 또 용감한사람이 하는일을 하라고, 절제있는 사람이 하는 일.. 더보기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4권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4권 제1장 자유인다움 자유인다움은 재물과 관련, 전쟁과 절제와 판결과 관련된 것은 아님(이책의 분류를 4가지로 본다면 이것이 대표적일듯) 지나침은 낭비, 모자람은 인색 : 부의 사용 해당 '어떻게 쓸 것인가?' 인색, 재물과 관련해서 마땅히 그래야만 하는 것 이상으로 진지한 사람에게 붙임 낭비, 자제력 없이 무절제에 이르도록 돈을 쓰는 사람에게 붙임 낭비하는 사람 : 자신의 재산을 파괴하는 하나의 나쁨을 가진 사람을 의미 돈을 쓰는 것과 관련, 마땅히 취해야 할 사람으로부터 취하거나, 마땅히 취해서는 안되는 사람에게 취하지 않는 것보다 마땅히 주어야 할 사람에게 주는 것이 자유인다움임 탁월성에 속하는 일은 잘받아들이는 것보다 잘 행하는 것, 부끄러운 일을 행하지 않는 .. 더보기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3권 ​​ 제1장 자발성과 비자발성 아리스토텔레스는 강요된 행위들에 관해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는 것을 믿지 않는다. ex) 어머니를 살해하지 않을 수 없게 '강제하는' 것... -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어떤 종류 대신 어떤 종류를 선택해야만 하는지, 무엇대신 무엇을 견뎌내야만 하는지는 분단해서 결정하기 어려운 문제이며, - 우리가 판단한 바를 끝까지 지키는 것은 훨씬 더 어려운 일일 것이다. 제2장 합리적 선택 합리적 선택은 탁월성에 가장 고유한 것으로 보이며, 행위들보다 성격을 더 잘 분간해 내는 것으로 보인다. - 합리적 선택은 '미리 숙고 했던 것' 제3장 숙고 우리는 우리에게 달린 것, 그리고 우리의 행위에 의해 성취 가능한 것에 관해 숙고한다. - 숙고함은 대부분.. 더보기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2권 ​​ 제1장 탁월성의 기원 지적탁월성: 가르침에 의해. 경험과 시간 필요 성격적탁월성: 습관에 의해 -> 품성상태(hexis)들은 유사한 활동들로부터 생긴다. 제4장 품성상태와 행위 탁월성에 따라 생겨난 행위가 hexis를 가지고 있기 위해 1)그는 우선 알면서 2)합리적 선택에 의거해서 행위하되 그 행위 자체 때문에 선택해야 하며, 3)확고하고도 결코 흔들리지 않는 상태에서 행위에서 하는 것 * ​정의로운 일들을 행하는 것으로부터 정의로운 사람이 되고, 절제 있는 일들을 행함으로써 절제 있는 사람이 된다. 제5장 탁월성의 종차: 중용 탁월성: 합리적 선택과 결부된 품성상태. 우리와의 관계에서 성립하는 중용에 의존함. 중용: 이성에 의해, 실천적 지혜를 가진 사람이 규정할 그런 방식으로 규정된 것으로, .. 더보기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공부 제1권 1장. 모든 기예와 탐구, 모든 행위와 선택은 어떤 좋음을 목표로 하는 것 같다. 행위, 기예, 학문은 여러 종류가 있기에 그 목적들 또한 많다. 총기획적인 것의 목적이 그것 아래에 놓이는 다른 모든 목적들보다 더 선택할만하다. 2장. 행위 대상의 목적이 다른 것들 때문이 아니라 그 자체일때(다른 것들도 이 목적을 추구), 이것이 최상의 좋음이다. 최상의 좋음이 어떤 학문에 속하는지 파악하자면, 가장 총기획적인 학문에 속할 것이며, 그것은 정치학이다. 따라서, 정치학의 목적은 '인간적인 좋음'일 것이다.(개인보다 큼 범주로서) 4장. 정치학이 추구하는 '인간적인 좋음'은 '행복'이다.(잘 사는 것, 잘 행위하는 것) 행복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음. 5장. 향락적인 삶, 정치적인 삶 그리고 관조적.. 더보기